본문 바로가기

허영12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10)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허영의 인도네시아 생활이나 활동 등을 보여 주는 추가 자료를 수소문하기에는 일정이 여의치 않았다. 하지만 찜통 더위에 비 오듯 흘러내린 땀방울만큼이나 값진 시간임에는 분명했다. 전공 학자도 역사가도 아니지만, 타향에서 세상을 떠난 조선인의 흔적을 부족하게나마 둘러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기 때문이다. 친일 행적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환영 받지 못하지만 머나먼 이국 땅에서 독립 영웅으로 추앙 받는 허영의 존재는 한 번쯤 되새겨 볼만하다. 최근의 한류 열풍 등을 제외하면 역사, 문화 분야 교류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던 인도네시아와 관계를 감안할 때 그 의미는 남다를 것이다. 허영 묘지를 출발점으로 동남아 곳곳에 흩어져 있는 한국 역사의 발자취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소개하고.. 2018. 9. 10.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9)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쁘땀부란 묘지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에 이어 허영의 무덤에 대한 정보를 부탁했다. 관리인은 허영이 40여년 전인 1972년 2월 24일 5,322번째로 이곳에 묻혔다고 대답했다. 그리고 허영의 묘지는 4개의 유료 구역 중 가장 비싼 곳에 위치해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허영의 무덤 위로 나란히 들어선 묘지는 허영과 관계 깊은 네델란드인을 추모하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한·인니 문화연구원에 따르면 실제로는 허영과 결혼한 인도네시아 여성의 모친 즉, 허영의 장모의 무덤인 것으로 추정된다.) 허영이 독립 인도네시아를 갈망했던 영화 감독이었다는 점, 인도네시아가 1949년 12월 네델란드로부터 독립을 성취했던 점 등이 오버랩 됐다. 그리고 자유를 되찾은 인도네시아에서 .. 2018. 9. 8.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7)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묘지 여기저기에서 낙서가 발견됐고, 파손 및 변색의 자국도 역력했다. 서울의 현충원과 같은 광경을 예상했던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거의 방치돼온 것 같은 느낌이었다. 주위를 둘러보니 다른 묘지들의 상황도 엇비슷했다. 심지어 무덤 옆에서 음료수를 마시고 연을 날리며 왁자지껄 떠드는 현지인들도 쉽게 눈에 띄었다. 마치 주말을 맞아 나들이를 나온 가족 및 친구들 같았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공동 묘지를 일상의 공간으로 받아들이고, 그래서 허영의 묘지도 엄숙함과는 거리가 먼 것일까'라는 생각이 문득 스쳐갔다. 쓰레기를 한편으로 치우고 허영의 출생과 사망 시점을 알려 주는 묘지를 카메라에 담은 뒤 자세한 정보를 구하기 위해 관리인 사무실로 발걸음을 뗐다. 2018. 9. 4.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5)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친일 인명사전에도 이름이 올라 있는 허영이 일제의 식민지 통치정책인 내선일체를 선전하는 영화를 제작하는데 팔을 걷어붙였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허영, 히나츠 에이타로, 닥터 후융 등 세 개의 이름으로 세 개의 인생을 살다 간 허영을 자세하게 알고 싶다는 궁금증은 더욱 커졌다.(실제 허영의 서로 다른 삶을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 '세 개의 이름을 가진 영화인'이 1997년 김재범 감독에 의해 제작되기도 했다). 그 호기심은 결국 쁘땀부란 공동묘지로 필자의 발길을 이끌었다. 2018.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