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립영웅4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10)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허영의 인도네시아 생활이나 활동 등을 보여 주는 추가 자료를 수소문하기에는 일정이 여의치 않았다. 하지만 찜통 더위에 비 오듯 흘러내린 땀방울만큼이나 값진 시간임에는 분명했다. 전공 학자도 역사가도 아니지만, 타향에서 세상을 떠난 조선인의 흔적을 부족하게나마 둘러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기 때문이다. 친일 행적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환영 받지 못하지만 머나먼 이국 땅에서 독립 영웅으로 추앙 받는 허영의 존재는 한 번쯤 되새겨 볼만하다. 최근의 한류 열풍 등을 제외하면 역사, 문화 분야 교류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던 인도네시아와 관계를 감안할 때 그 의미는 남다를 것이다. 허영 묘지를 출발점으로 동남아 곳곳에 흩어져 있는 한국 역사의 발자취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소개하고.. 2018. 9. 10.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6)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자카르타 시내의 쁘땀부란(Petamburan) 묘지에서 가장 먼저 귀에 들어온 허영에 관한 단어는 바로 감독(direktur)이었다. 묘지 관리인은 "허영이 영화 감독이었다는 사실을 아느냐?"고 친구를 통해 필자에게 물어왔다. 독립 영웅으로 대접받는 허영의 묘지를 찾는 방문객들이 종종 있는 덕분인지 이방인의 출현을 경계하지 않고 친근하게 대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관리인의 안내에 따라 출입구를 지나 허영이 묻힌 장소로 발길을 옮겼다. 아이들이 묘지 옆 공터에서 축구공을 차는 다소 생소한 광경을 목격하면서 2~3분쯤 걸었을까. 마침내 'DR.HUYUNG' 이름이 새겨진 허영의 무덤이 눈앞에 나타났다. 꼬박 7시간을 비행기에서 보내고 마주한 묘지는 예상과는 사뭇 달랐다. 2018. 9. 2.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4)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조선 총독부 등의 후원으로 친일 영화를 만들던 허영은 1945년 8월 일본의 패망 직전 인도네시아 독립을 지원하던 한국인 군속들의 목숨을 구해 줬다. 이를 계기로 전후 일본식 이름인 히나츠 에이타로(日夏英太郞)를 버리고 닥터 후융이란 이름으로 인도네시아에 정착했다. 이후 네덜란드에 맞선 인도네시아의 독립 투쟁을 그린 영화 프리에다(Frieda) 등을 제작하며 국민 감독의 반열에 올랐다. 그리고 영화 불모지나 다름없던 인도네시아 영화산업의 초석을 쌓는데도 힘을 보탰다. 물론 뒤늦은 개과천선(?)과 인도네시아 독립 영웅의 칭송이 군국주의 영화를 생산한 친일 전범의 오명을 씻어주기는 어렵다. 2018. 8. 29.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3) 동남아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흔적 광복절을 즈음해 친일 매국노와 인도네시아 독립 영웅이라는 양극단의 삶을 산 뒤 이국 땅에서 생을 마감한 허영의 이야기를 2회에 걸쳐 소개해 보려고 한다. 허영이라는 인물을 처음 접한 것은 예전 독립기념관 홈페이지에서였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1940년대 초 일본군이 점령했던 인도차이나 반도 등으로 반강제로 동원됐던 조선인 학도병과 포로 감시원 등의 사연을 찾던 중이었다. 당시 웹사이트에 게재됐던 인도네시아 내 조선인 흔적 관련 정보 중 허영의 묘지가 가장 눈길을 사로 잡았다. 한국과 비교적 가까운 일본, 중국 등지가 아닌 적도에 인접한 동남아의 대지에 잠들어 있는 조선의 발자취는 호기심마저 자극했다. 그리고 현지인 친구의 도움으로 허영의 유해가 안장된 자카르타 시.. 2018.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