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저리 주저리/정치 경제

반기문 전 사무총장 불출마 선언과 조기 대선 정국

by junghwan 2017. 2. 1.

'벚꽃 대선' 현실화 가능성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2월 첫날부터 깜짝(?) 뉴스가 터져 나왔습니다. 바로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이 대선 불출마를 전격 선언한 것입니다.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반 전 총장은 1일 국회 정론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제가 주도하여 정치교체 이루고 국가 통합 이루려던 순수한 뜻을 접겠다"고 밝혔습니다. 

반 전 총장은 이어 "(정치권의) 일부 구태 의연하고 편협한 이기주의적 태도에 지극히 실망했다"며 "이들과 함께 길을 가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반 전 총장은 "저의 순수한 애국심과 포부는 인격살해에 가까운 음해, 각종 가짜 뉴스로 정치교체 명분은 실종되고 개인과 가족 그리고 제가 10년을 봉직했던 유엔의 명예에 큰 상처만 남기게 됐다"고도 덧붙였습니다.

(개인적은 선호와는 별개로), 사실 반 전 총장의 중도 하차를 예상하는 관측은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돼 왔습니다. 주지하다시피 반 전 총장은 지난 2007년 유엔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에 취임했습니다. 그리고 10년간 유엔(United Nations, 국제연합)의 1인자 역할을 수행한 뒤 지난달 12일 한국으로 돌아 왔습니다

일찌감치 보수층의 유력 대선 후보로 꼽혀 온 반 전 총장은 유엔 사무총장 임기가 끝날 무렵 사실상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습니다. 귀국 후 "정권교체가 아니라 정치교체가 이뤄줘야 할 때"임을 강조하며 '보수적 진보주의자'의 대선 행보를 본격화하면서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함께 차기 대선주자 중 양강 구도를 형성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자연인'으로 돌아온 반 전 총장의 앞에는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고돼 있었습니다. 이미 반 전 총장의 동생과 조카가 미국에서 뇌물죄로 기소된 가운데 야당을 중심으로 한 공세 수위가 점점 높아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국내 사정에 어두운 점, 정치 경험 및 철학의 부재, 자금력 부족, 선거 캠프 내 불협화음 등 악재가 이어지면서 줄곧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예상보다 미미했던 '컨벤션 효과'조차 사라지며 보수 진영에서도 반 전 총장과 거리를 두면서 지지율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지난 31일에는 '개헌 추진 협의체'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돌파구 마련에 실패하면서 지지율은 10%대 중반까지 곤두박질쳤습니다. 

'친박'과 '친문'을 제외한 범여야 정치권과 함께 '빅텐트'를 구축하겠다는 반 전 총장의 구상은 이렇듯 답보 상태에 빠졌고, 결국 현실 정치의 벽 앞에 무릎을 꿇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이렇게 범여권에서 지지율이 가장 높았던 후보가 사퇴함에 따라 제19대 대선은 문 전 대표, 이재명 성남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안철수 전 국민의 당 상임공동대표 등 야권 후보들의 득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미 반 전 총장과 두 배 이상 격차를 벌린 문재인 대표의 독주체제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물론 대선 출마 여부를 놓고 비상한 관심이 쏠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및 바른정당의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도지사를 중심으로 한 보수 진영의 합종연횡 움직임도 예의주시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사진 출처: JTBC 및 연합뉴스 TV 화면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