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57 뜨거워지는 동남아 스타트업 열풍(2) 뜨거워지는 동남아시아 스타트업(Startup) 열풍 동남아 시장이 뜨거운 각광을 받는 것은 무엇보다도 높은 성장 가능성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글로벌 벤처캐피털 업계는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주요 국가들의 인터넷 사용 인구가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동남아 지역에서는 매일 12만 명 이상의 새로운 온라인 이용자들이 탄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2020년에는 유럽연합(EU) 인구에 육박하는 4억8,000여만 명이 인터넷의 세계에 빠져들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습니다. 중산층이 부상하는 가운데 역내 인구의 60% 가량을 차지하는 30세 이하 젊은 층이 인터넷 경제에 새롭게 편입된다는 희소식에 벤처캐피털.. 2017. 7. 7. [다시 읽는 동남아] 동남아 경제의 실력자, 화인 자본(4) 중국계 동남아 거주국 국적자 3000만명… 현지 경제 좌지우지[다시 읽는 동남아] 동남아 경제의 실력자, 화인 자본 화인 자본의 성장에는 유교적 공동체 정신에 기반한 끈끈한 결속력과 인맥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거론된다. 예를 들어 푸젠성 출신 화인들이 손잡고 신도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주도하는 형식 등으로 힘을 모으는 식이다. 여기에 자신의 뿌리를 잊지 않도록 자식들을 중국으로 유학 보내는 일 또한 낯설지 않다. 물론 세대가 거듭될수록 중국인으로서의 공통분모는 조금씩 약해지고 있다. 부모로부터 경영권을 물려받은 화인 재벌 2, 3세들이 이를 잘 보여준다. 미국, 유럽 등에서 공부하며 어린 시절을 보낸 이들에게는 중국어보다는 영어가, 중국식 가치보다는 서구식 가치에 익숙한 경향을 보인다. 그래서일까. 화.. 2017. 7. 1. [다시 읽는 동남아] 동남아 경제의 실력자, 화인 자본(1) 중국계 동남아 거주국 국적자 3000만명… 현지 경제 좌지우지[다시 읽는 동남아] 동남아 경제의 실력자, 화인 자본 중국의 대외 무역투자 진흥 업무를 담당하는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hina Council for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Trade)'는 지난해 12월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연락 사무소를 개설했다. 한국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일본의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와 비슷한 성격의 중국 국가기관의 인도네시아 진출 뒤에는 화인(華人)이 자리잡고 있었다. 화인이 창업한 현지 컨설팅 회사가 중국인 직원을 앞세워 연락 사무소 설립에 필요한 자문을 하고 실무 절차를 대행한 것. 중국 본토의 자본과 인력이 동남아시아로 들어오는데 가교 역할을 수행해 온 화.. 2017. 6. 28. 싱가포르 은행에서 수표 이용하기(1) 싱가포르 은행에서 수표 이용하기해외 생활 첫걸음인 현지 금융기관 적응하기 언젠가부터 지구촌이라는 말이 제법 친숙하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교통과 정보통신 수단의 발달 등이 가져온 글로벌 시대를 살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유학, 출장, 여행 등 목적은 다르지만 세계화 시대에 걸맞게 해외로 나가는 인구도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이렇게 해외에 머무르다 보면 현지 금융기관을 이용해야 할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짧게 여행을 가거나 돌봐줄 누군가가 있을 때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장기간 유학 생활을 하거나, 돈을 벌기 위해 일을 할 때는 특히 은행과 친해져야 합니다. 저 역시 일본에서 뜻하지 않게 외화송금을 했을 때, 미국에서 처음 수표를 썼을 때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사실 새로운 환경.. 2017. 5. 28.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