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57

아시아 배우려는 미국, 유럽 MBA 증가 아시아가 세계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부상한지 오래입니다. 그만큼 아시아를 배우려는 글로벌 사회의 발걸음 또한 빨라지고 있습니다. 흔히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로 불리는 비지니스 스쿨은 이러한 변화의 최전선에 위치한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신문사 재직 시절, 미국 칼슨 비즈니스 스쿨의 부원장과 진행했던 인터뷰 기사를 공유해 봅니다.^^--------------------------------------------------"아시아 배우려는 美ㆍ유럽 MBA 늘어"마이클 휴스턴 칼슨 비즈니스스쿨 부원장"기업이 해외에 공장을 설립하지는 않더라도 자원을 조달하고 외국 기업과 경쟁하다 보면 결국 글로벌 경제와 상호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경영전문대학원들이 글로벌화에 더욱.. 2017. 5. 22.
직업 교육 정부 지원 늘리면 공교육 정상화에 큰 도움 새로운 정부 출범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관심입니다. 그 중에서도 '국가 백년지대계' 교육 분야가 어떻게 바뀔지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구조적 저성장과 학력 인플레 및 이에 따른 취업난 속에 직업 교육이 보다 활성화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신문사 재직 시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회장과 진행했던 인터뷰 기사를 공유해 봅니다.^^---------------------------------------------------------------------직업 교육 정부 지원 늘리면 공교육 정상화에 큰 도움 김정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장"선진국들은 일찌감치 고등교육체제를 학문, 직업 중심의 두 트랙으로 개편해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체의 허리와 팔다리 역할을 담당하.. 2017. 5. 21.
아시아 공략 거점으로 싱가포르 활용하세요 문재인 대통령이 박원순 서울시장을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특사로 임명했다는 소식이 화제입니다. 중국에 이어 한국의 두 번째 교역 파트너로 부상한 아세안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새 정부의 의지에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이와 관련해 신문사 재직 시절, 아세안의 선두 주자인 싱가포르 경제개발청장과 진행했던 인터뷰 기사를 공유해 봅니다.^^---------------------------------------------"아시아 공략 거점으로 활용하세요" 베 스완 진 싱가포르 경제개발청장 인터뷰"아시아에는 중국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 등에 진출하려는 다국적 기업들에 싱가포르는 최적의 허브(hub)입니다."적극적인 외자유치를 통해 아시아의 강소국으로 발돋움한 싱가포르.. 2017. 5. 20.
한국 부동산 시장 앞날 일본과 다르게 전개될 것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부동산 시장 동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도심 재생을 테마로 한 뉴딜사업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새 정부는 '집값 상승'보다는 '주거 안정'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신문사 재직 시절,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아시아태평양 부동산 투자 부문 디렉터와 진행했던 인터뷰 기사를 공유해 봅니다^^--------------------------------------------------------------한국 부동산 시장 앞날 일본과 다르게 전개될 것단기 조정 불가피하지만 중국 부동산 매우 매력적마틴 램 러셀 인베스트먼트 아시아태평양 부동산 부문 디렉터 "한국 부동산 시장이 중장기적으로 어떤 모습을 보일지 전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금융위기에 발빠르게 대.. 2017.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