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받는 2억5000만 동남아 무슬림 시장
이외에 동남아 경제를 실질적으로 지배해 온 소수 화교 자본과 다수 원주민 간의 갈등의 불씨도 여전하다. 실제 최근 치러졌던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주지사 선거 결과는 이러한 염려가 기우가 아닐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이슬람 신성 모독 의혹을 받아 온 중국계 비무슬림 현 주지사가 강경파 무슬림들의 반발 속에 1차 투표에서 승리하고도 무슬림 대 비무슬림 양자 대결의 결선 투표에서는 결국 쓴 잔을 마셨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부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울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한껏 기지개를 켜고 있는 동남아 무슬림 시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행선지이다. 같은 아시아 대륙에 속해 있는 또 다른 종교 문화권에 진지한 애정을 가지고 다가가야 할 때이다.
'주저리 주저리 > 국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남아시아 다문화의 상징, 페라나칸(2) (0) | 2019.03.06 |
---|---|
동남아시아 다문화의 상징, 페라나칸(1) (0) | 2019.03.04 |
주목 받는 2억5000만 동남아 무슬림 시장(6) (0) | 2019.02.28 |
주목 받는 2억5000만 동남아 무슬림 시장(5) (0) | 2019.02.26 |
주목 받는 2억5000만 동남아 무슬림 시장(4) (0) | 2019.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