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방정책 협력 대상국들과 성불평등지수
특히 UNDP의 조사 항목인 노동 참여율, 임산부 사망률, 입법기관 여성의원 비율 등에서 개선할 여지가 어느 정도인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실제 자국 내에서도 전근대적 관습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온 세계 최대 무슬림 국가 인도네시아의 일부사처제, 왠 만한 국가의 전체 인구와 맞먹는 3,700여만명의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살고 있는 인도의 뿌리 깊은 남아선호 사상 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양성평등 성숙도는 한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적 수준 및 여건 등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 밖에 없다. 북유럽과 북미 선진국들이 오랫동안 양성평등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해 온 사실은 아세안과 인도의 앞날을 위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신남방정책 추진 시 교육과 보건 등 아세안 국가들과 인도의 성불평등 해소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도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 보면 어떨까?
'주저리 주저리 > 국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는 이슬람 국가? 무슬림 국가?(2) (0) | 2018.12.21 |
---|---|
인도네시아는 이슬람 국가? 무슬림 국가?(1) (0) | 2018.12.19 |
신남방정책 협력 대상국들과 성불평등지수(4) (0) | 2018.12.05 |
신남방정책 협력 대상국들과 성불평등지수(3) (0) | 2018.12.03 |
신남방정책 협력 대상국들과 성불평등지수(2) (0) | 2018.12.01 |